1. 리눅스 터미널 인코딩
리눅스 터미널환경에서 작업시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된 경우
아래명령어로 현재 터미널 인코딩 확인을 해보세요.
# echo $LANG
ko_KR.euckr
만약 인코딩을 다른 것으로 변경을 원한다면 아래 명령어를
통해서 터미널 인코딩을 다른 인코딩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.
#export LANG=ko_KT.UTF8
[참고]
파일 인코딩 확인 : #xxd 파일명 | more
터미널 인코딩 확인 : set |grep LANG
EUC 변경 방법 : # export LANG=ko_KR.EUCKR
2. 데이터베이스 인코딩
리눅스 명령어로 MY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시에 인코딩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테이블별로 인코딩 확인이 가능합니다.
#mysqldump -d
mysql 접속 상태에서 기본 인코딩 상태를 확인이 가능합니다.
mysql > show variables like 'c%';
데이터베이스 기본 인코딩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데이터베이스 환경설정파일 /etc/my.cnf파일 설정을 통해
DataBase 의 언어셋을 UTF8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[client]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[mysqld]
init_connect = SET collation_connection = utf8_unicode_ci
init_connect = SET NAMES utf8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character-set-server = utf8
collation-server = utf8_unicode_ci
skip-character-set-client-handshake //클라이언트 설정 무시(모든게 utf8 인데도 깨진다면 이걸 설정)
/* 저장후 service mysqld restart 해주고 난뒤 다시한번 show variables~~~~를 이용해서 확인해보도록 하자.
utf8 로 잘 나온다면 DB설정은 끝 */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YSQL] 기본쿼리 (0) | 2015.01.14 |
---|---|
리눅스 파일비교 방법 (0) | 2014.11.25 |
네이브 블로그에서 티스토리로 이사/이전하는 방법 (0) | 2014.11.09 |